Git for PDM
구글링 해 보면 이 주제와 관련하여 하나의 제안이 보인다.
간단히 말해 CAD 데이타도 분산 버전 관리 개념을 도입하면 어떠냐는 것이다.
사실 Git을 써 본 설계자라면 자연스럽게 이런 아이디어를 떠올릴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.
과연 이 아이디어가 현실성이 있을까??
기존 상용 PDM의 특징
- 거의 모든 제품이 중앙집중식 파일관리 개념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, 유연성이 심각하게 떨어진다.
- 이유는 간단하다. CAD 소프트웨어 개발회사들이 전부 자사의 CAD 제품 안에 고객들을 가둬놓고 돈을 쪽쪽 빨아먹는다는 개념의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.
- 따라서 산업 표준 호환성이나 데이타 교환의 용이성 등은 심각하게 등한시되어 왔다.
기존 상용 PDM의 문제점
- 사용자는 모두 온라인으로 연결해서 CAD데이타를 당겨서 써야 한다.
- 이런 중앙집중식 모델은 네트워크 속도가 받쳐주지 못하면 느려서 도저히 작업 진행이 안 될 지경이다. 특히 그냥 소스코드 따위의 텍스트들도 아니고, 수십~수백 메가바이트 또는 심한 경우 기가바이트 단위의 데이타를 온라인으로 당겨와서 써야 하는데 제대로 속도가 나올리 없다.
- 다중작업시 권한관리 문제 때문에 역시 설계자의 자유도가 떨어진다.
- 브랜치를 내는 것이 쉽지 않다. 이는 달리 말해, 하나의 소스 제품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해 고객 요구에 따라 커스터마이제이션된 파생 모델을 쉽게 만들기 힘들다는 이야기다.
- 다양한 파생 모델을 만들어내야 하는 것은 주로 다품종 소량생산 제품을 만들어내야 하는 고부가가치 장비 쪽 업계에서 직면하는 문제다. 이에 대해 기존의 CAD 회사들은 제대로 된 솔루션을 전혀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다.
- 기존 CAD 회사들의 주요 관심사는, 대규모 다국적 기업들 달리말해 큰 돈을 주는 대기업에 주로 촛점이 맞춰져 있었다.
- 중소기업을 위한 솔루션이라고 구색을 맞춰서 나온 것들이 있기는 하지만, 역시 실제 중소기업 현실에 맞춘 마음에 드는 솔루션을 본 적이 없다.
- 중소기업의 경우 1명~수명 정도의 소수의 설계 인원만으로 설계작업은 물론 도면 생성 관리 배포 파생제품 설계 생산이관 자료준비 등등 모든 단계를 모두 다 수행해야 한다. 이는 심각한 업무 로드를 강요하게 되는데, 실무자의 업무량을 진짜로 줄여주는 일에 관심을 가진 공급자는 단 한 회사도 없었다고 본다.
- 특히 중소기업(스타트업,벤쳐등)의 경우, 관리를 위한 관리 보다는 좀 더 유연하게 신제품을 개발하는게 중요하고 또 기존 제품들 즉 레거시 데이타의 구애를 덜 받기 때문에, 중앙집중식 데이타 관리 보다는 분산형이 훨씬 더 필요성이 높다.
diff 문제
- Git은 기본적으로 텍스트 포멧을 다루는데 최적화되어 있다. 그런데, 대부분의 CAD 데이타는 바이너리 파일이다. 따라서 사용하기에 불리해진다.
- diff 기능은 고도로 발달되어 있으나 역시 텍스트 이외에는 전혀 쓸모가 없다.
- 다만, STEP 파일을 보면 기본적으로 텍스트 포멧을 바이너리화 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중간에 적절한 필터만 거치게 해 줄 경우 관리가 완전히 불가능한 것만은 아닐 것이다.
- 또한 CATIA의 Catpart, CREO의 prt 파일 등의 경우 역시 해당 포멧의 구조 중에서 헤더 정도에 해당하는 내용만 파싱해 낼 수 있다면 어느정도 관리가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기도 한다.
- 그럼에도 불구하고, 텍스트 포멧을 다룰때 보다는 훨씬 많은 용량의 저장공간과 관리를 위한 컴퓨팅 파워가 필요할 것이다.
- 그러나 저장공간의 가격은 매우 저렴해져 있고, 컴퓨팅 파워는 사실 PC 정도 사양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을까 싶다.
사용자 인터페이스 문제
-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아닌 기계설계자들을 위한 심플하고 깔끔한 GUI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. 또는 완전히 웹 기반으로 가도 좋지 않나 한다.
- 인증, 커밋, 브랜치, 머지 등등의 개념을 몰라도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세심하게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.
BOM 생성 문제
-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, CAD 종류에 구애받지 않도록 모든 정보를 포기하고 오로지 파일네임만으로 모든 것을 구성하는 것이다.
- 이것이 성립되려면 파일네임이 유일성을 가지도록 설계단계에서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. 이는 설계자 교육을 통해 습관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.
잠정 결론
- 아무튼, Git 기반으로 소스코드 관리가 아닌 pdf,dwg,stp 같은 바이너리 파일(도면 포함)을 분산 버전 관리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구성하고 이를 사업화하는 방법도 꽤 재미있는 아이디어 아닐까 싶다.
- 한국에서 이게 나올 확률은 0%에 수렴할 것 같아 조금 슬프다.